본문 바로가기
주식관련

유럽의 심각한 중국자원 의존도

by 김티거 2025. 2. 15.
반응형
반응형

유럽은 이전에 세계를 호령하던 시기를 지나 점점 밀려나는 모습인데.. 요즘보면 여기저기 많이 휘둘려서 정신 못차리는 느낌 ... 암튼, 유럽의 중국 자원 의존도에 대한 데이터가 있어 살펴보았다.

중요한 원재료에 대한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유럽은 여전히 중국 자원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자료를 보니 생각보다 심각한 수준인데..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광섬유, 원자력과 같은 기술에 사용되는 중희토류는 무려 100%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고 한다 ㄷㄷ

그리고 항공우주 합금에서 자동차 부품에 이르기까지 유럽에서 소비되는 마그네슘의 97%가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고 함.

이외에도 전기 자동차와 배터리에 쓰이는 리튬도 80% 정도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고..

 

유럽연합은 이렇듯 필수 재료에 대한 심각한 접근성 우려에 직면해 있는데.. 중국이 이러한 자원에 대한 우세를 무기화 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멀리서 찾지 않아도 우리나라 또한 중국 의존도 높은 부분은 조금만 중국에서 제재하면 난감한 상황들이 많이 생기게 되고, 얼마전에 요소수 관련해서도 난리난적이 있었고.. 이렇듯 한 나라에 너무 의존도가 커지게 되면 자연스레 문제가 생길 수 밖에 없기에 이런 의존도를 최대한 분산시키는게 국가나 기업 입장에서도 중요한 부분인 것 같다.

유럽연합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자재법을 만들어, EU에서 소비되는 모든 중요 원자재의 10%를 EU 내에서 생산할 수 있도록 할당하는 것을 구상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연간 소비량의 최대 25%에 달하는 재활용 노력도 크게 늘릴 것을 요구하고 있는데, 이러한 노력을 통해 2030년까지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65% 미만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하는데.. 만만치는 않겠지만, 어떻게 진행이 될지 지켜봐야겠다.

한국도 중국의존도가 높은 품목들이 적지는 않을텐데, 적절한 전략이 필요할 듯.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