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 밤에 와이프랑 오징어게임 시즌2 가볍게 어떤지 함 볼까 하면서 틀어보았음.
사실 틀기 전까지만 해도 보다가 좀 재미 덜하면 일찍 자겠지 싶었는데... 이게 뭐랄까.. 어..어.. 어.. 보다보니 7화까지 그냥 날밤새도 다봄 ㅋㅋㅋㅋㅋ 이렇게 밤새면서 뭔가 본것도 오랜만인듯 ㅎㅎㅎ
오징어게임 시즌2에 대한 기대도 상당해서 많은 외신들은 혹평을 하기도 하고, 여러모로 평가는 갈리는 모습인데 그냥 내가 봤을때는 킬링타임으로 꽤 잘 만든 작품인 듯 하다. 물론, 여전히 억지 K 신파나 대놓고 민폐 캐릭터 등 눈살을 찌푸리는 모습들도 많았지만, 일단 뭐 밤새고 쭉 정주행 한것만 봐도 재미는 보장이지 않을까 (스포 없으니 걱정마시길 ㅎㅎ)
해외에서 무서운 로봇 영희(?)가 인기 많아서 그런지 첫 게임은 상징적으로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로 시작해주면서도 새로운 게임들도 이번에는 재밌었다. 특히, 내가 어린 시절 했던 공기놀이나 팽이 돌리기 등등 깨알같은 미니게임들도 잘 연출한 것 같음.
![](https://blog.kakaocdn.net/dn/bMEXAw/btsLBKQJVUi/5E6gYazOVXR92gkQdVAGlk/img.png)
최근 환율이 엄청나게 오르면서 외환위기급의 환율 수준이 되고 있는 와중, 화제가 되고 있는 짤이 있어서 이걸 보고 웃기도 했지만 무섭기도 했다는..ㄷㄷ
해외에서는 456억원이라는 원화금액이 달러 베이스로 환산이 되어서 그런가봄 ㅎㅎ
![](https://blog.kakaocdn.net/dn/Sge5Z/btsLBgikiF0/2UoICaktJZyWzd1ZNkRXO1/img.jpg)
좀 더 디테일하게 살펴보기 위해 오징어 게임 시즌 1이 공개되었던 21년 평균 달러 환율과 시즌2가 공개되었던 24년 평균환율을 가져와봄. 21년에는 1,144원 수준이었고, 24년에는 1,363원 수준으로 거의 20% 이상 오른 모습이었다. 456억원을 21년 기준으로 보면 3,986만달러가 되고, 24년 기준으로 보면 3,346만달러가 되는셈 ㄷㄷ 640만달러나 차이나게 되다니 무섭..
내가 미국주식을 시작한게 20년부터였고, 그당시 1,080원 환율 이런 시절에도 미국주식 열심히 샀던 기억이 나는데.. 이제 다시는 못볼 낭만의 시절이 아닐까 싶기도...ㄷㄷ
이처럼 원화자산만 가지고 있으면 그냥 살살 녹는다는 것이고, 슬프게도 한국은 앞으로도 환율을 이전의 1,000원대 시절처럼 방어해내기 어렵다고 보기에(실제로도 환율 밴드는 꾸준히 상승중..) 원화자산 이외에 달러자산도 열심히 모아야만 한다고 본다! 원화자산은 부동산으로 커버하고 달러자산은 미국주식으로 열심히! 그리고 비트코인같은 탈금융 자산까지 가져가면 베스트일 듯!
![](https://blog.kakaocdn.net/dn/zVFju/btsLB3ieYoq/t9Tr1ibej1cKowe6uctoy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kO0T0/btsLzb3Q81s/tBMUU9MnVqNYSwcScISrp0/img.png)
이렇게 돌아보니 미국주식에 투자안하고 그냥 원화만 가지고 있었으면 큰일났었겠구나 싶다..
미국주식을 열심히 모아가고 있어서 참 다행이라고 생각되는 요즘이고, 지금 환율이 비싸서 무서워하기 보다는 뉴노멀을 생각하고 그저 꾸준히 원화자산을 달러자산으로 치환해두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가 될 것 같다.
'주식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웨이모 긴급 출동 프로그램 세이프티 인증 획득 (2) | 2024.12.29 |
---|---|
제미나이의 시대가 헤드셋과 안경에도 찾아오다 (1) | 2024.12.29 |
평균 vs 중간 부로 보는 상위 20개국 (0) | 2024.12.28 |
투데이 앳 애플 세션 신청하는 방법 (2) | 2024.12.27 |
만달러를 애플 상장 당시 투자했다면 지금 얼마의 가치 (0) | 2024.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