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평균 부와 중간 부에 따른 상위 20개국에 대한 데이터가 있어 살펴보았다.
![](https://blog.kakaocdn.net/dn/cr5BVN/btsLBLa3lsm/JZyZKKNgsuChKUzRS4aVPk/img.png)
먼저 평균 부와 중간 부의 차이점이 무엇인가 살펴보니,
평균 부의 경우 국가 국민의 총 부를 인구 규모로 단순히 나눈 값이라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억만장자의 존재와 같은 매우 높은 값에 의해 왜곡될 수 있는 수치이기도 하다.
중간 부의 경우 모든 사람의 부를 순서대로 정리했을때 부의 중간 값을 나타낸다고 하는데, 이렇게 하면 그나마 왜곡이 덜한 데이터가 산출될 수 있음.
기사에서는 미국을 예로 들었는데,
미국의 경우 평균 부는 1인당 565,000달러로 4위를 기록했지만 중간 부의 경우 1인당 112,000달러로 14위를 기록했다고 한다. 이 수치를 보면 미국은 많은 양의 부가 소수의 개인에게 집중되어 있고, 대부분의 인구는 실제로 훨씬 적은 부를 지니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이야기했다. 양극화가 그만큼 심하다는 이야기도 될 듯.
![](https://blog.kakaocdn.net/dn/yCac0/btsLB1Y0MZ2/VdIFEYOajeIZ6R794sO2xK/img.png)
룩셈부르크나 덴마크와 같이 두 가지 지표에서 비슷하게 모두 높은 순위를 차지한 국가의 경우에는 부의 분포가 좀 더 균등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음.
![](https://blog.kakaocdn.net/dn/dovvLw/btsLBvF3lQZ/XIZaLHq1myFi0Z2uymlBV1/img.png)
728x90
반응형
'주식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미나이의 시대가 헤드셋과 안경에도 찾아오다 (1) | 2024.12.29 |
---|---|
원화 살살 녹네 (1) | 2024.12.28 |
투데이 앳 애플 세션 신청하는 방법 (2) | 2024.12.27 |
만달러를 애플 상장 당시 투자했다면 지금 얼마의 가치 (0) | 2024.12.27 |
24년 구글 투자 결산 (0) | 2024.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