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관련

2024년 반도체 파운드리 매출 점유율 데이터

by 김티거 2025. 2. 14.
반응형
반응형

24년 반도체 파운드리 매출 점유율 기준 순위 데이터가 있어 살펴봄.

반도체 파운드리는 설계 기업의 의뢰를 받아 칩을 생산하는 반도체 위탁 생산 업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글로벌 기술 생태계에 있어 굉장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아무리 설계를 잘해도 이 설계된 칩을 안정적으로 양산하지 못하면 의미가 없는 것이니까.

특히, 갈수록 반도체가 고도화되고 있기에 AI나 5G 등 최신 기기와 기술에 사용되는 고급 칩을 제조할 수 있는 파운드리도 많이 없음.

24년 글로벌 파운드리 총 매출은 1,317억 달러를 기록했고,

다들 예상하셨겠지만, 파운드리 수익 점유율별 상위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 1위는 대만의 TSMC가 차지했다. TSMC는 무려 전체 파운드리 매출의 62%를 가져가는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ㄷㄷ 이외에도 대만의 다른 파운드리 기업의 매출을 합치면 대만에서만 합산 점유율 70%나 차지한다는 사실. 사실상 칩 양산을 대만에서 독점한다고 봐도 될만한 수치 ㄷㄷ

 
 

대한민국의 자존심 삼성전자가 약 10%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2위를 차지했다. 아무래도 삼성전자가 파운드리에서 약점을 보일 수 밖에 없는 태생적 한계가 있긴 한데.. TSMC는 '고객과 경쟁하지 않는다.' 라는 확실한 모토를 가지고 있어, 기술 유출 등의 우려가 없지만, 삼성의 경우 종합 반도체 기업이고 스마트폰이나 다양한 제품을 만들고 있어 이런 부분에서 칩 설계 기업들이 다소 우려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발목을 잡고 있기도 함.

<다른 플레이어가 대만에 도전할 수 있을까?>

중국, 미국, 한국은 대만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투자를 늘리고 정부 지원을 통해 반도체 산업을 확장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미국 기업은 파운드리에서는 존재감이 없지만, 전체 반도체 산업에서 가장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칩 설계 등에서 글로벌 리더이다. 전체 반도체 산업으로 보면 미국이 글로벌 시가총액의 무려 72% 를 차지하고 있고, 이러한 지배력은 칩 설계, 지적 재산, 소프트웨어 등 분야의 강점에 의해 주도되고 있음.

파운드리의 경우 현재 TSMC를 대적할만한 경쟁자가 크게 없어보이고, TSMC는 EUV 기기를 활용한 첨단 칩을 제작하고 있기에 여전히 가장 정교하고 강력한 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는 독보적인 역량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이다. 대만은 그만큼 TSMC가 나라를 구하고 있는 기업과 같기에 호국신산(나라를 지키는 신령스러운 산) 이라는 칭호까지 얻고 있고, 그만큼 국가 차원에서도 적극적인 지원을 해주고 있다. 대만에게 TSMC가 없었다면, 과연 미국이 대만을 중국으로부터의 위험에서 지켜주려고 할까? 아마 아닐 것으로 본다. 그만큼 세계적인 기업은 나라를 지켜내는 힘도 있다고 보기에 우리나라도 삼성을 그냥 나쁜 재벌기업의 이미지로 깎아내릴 것이 아니라 좀 더 기업 친화적인 태도를 가져가는 것도 중요하다고 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