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관련

BRICS는 G7 경제에 비해 어떻게 평가되고 있나

by 김티거 2025. 2. 7.
반응형
반응형

전세계는 총성없는 전쟁중인데(총성 있는 곳도 있..) 그만큼 자신들의 동맹국과 함께 시너지를 내기 위해 다양한 연합을 구축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연합은 G7이라고 할 수 있는데 BRICS 연합도 꾸준한 성장을 이어오고 있다. 특히 BRICS 의 경우 신흥국가가 많다보니 성장세가 크고 작년에 5개의 회원국과 8개의 새로운 파트너 국가가 추가되었다고 함.

BRICS의 약자는 창립멤버 5개국(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공) 으로 형성되어 있다.

G7의 경우 소위 말하는 선진국 연합이라고 할 수 있는데, 미국을 필두로 하여 독일, 일본, 영국, 프랑스, 캐나다, 이탈리아의 연합을 말한다.

 

세계 경제 점유율을 기준으로 보면 BRICS+ 그룹은 10개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계 경제의 약 29%를 차지하고 있다. G7은 45%의 비중을 차지하며 여전히 G7이 전세계를 주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BRICS 국가들은 달러를 버리고 무역을 위한 공통통화를 확립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는데, 그 이유는 현재 BRICS 연합에 속한 러시아와 이란이 금융 제재를 우회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근데.. 미국행님들이 항상 개빡치는게 뭐다? 바로 자국통화에 대한 위협 아니겠는가.. 다들 조심좀 하고 눈치 좀 챙기라구...ㅋㅋㅋㅋ

기사에서도 이러한 논의는 있지만 BRICS 소속 국가들의 경제구조도 전혀 다르기 때문에 새로운 통화정책은 가능성이 낮다는 분석.

BRICS는 현재 열심히 멤버(?)를 늘리려고 애를 쓰고 있는데, 나라마다 엇갈린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무슨 파트너 국가라는 의미로 가볍게 발을 담궈보는 나라로써 연합에 들어오는 경우도 있고, 최근 엄청나게 주목받고 있는 국가 중 하나인 아르헨티나는 우파 대통령 밀레이가 당선되며 강도높은 정부 구조조정 등 포퓰리즘을 걷어내고 있고, 실제로 인플레이션율이 급감하고 무역수지가 회복되는 모습들을 보여주며 엄청난 환호를 얻고 있다. 아르헨티나도 BRICS 가입 제안을 받았지만, 밀레이 대통령은 대표적인 친미 대통령이고 앞으로도 미국과 더 긴밀한 관계를 원하며 BRICS 가입을 단호하게 거부했다고 함 ㅋㅋㅋㅋㅋ 하긴 BRICS에 러시아, 중국 있는데 눈치 챙겨야지 ㅋㅋㅋ

대한민국도 경제 강국이 되며 G7 가입을 할 수 있을지도 주목받고 있는데, 실제로도 G7도 BRICS의 확장에 대비하여 주요 동맹국을 추가하려는 움직임을 가져가고 있고 일단 가장 확률 높은 국가가 대한민국과 호주라고 한다. 만약 가입이 된다고 하면 G9로 탈바꿈 되는 것!

그러려면 최근의 위기와 우려 상황을 이겨내고 다시 한번 도약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 잘 극복해내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