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투자 및 이런저런 이야기3641

미국 평균 가계 예산 한국의 데이터는 아니지만, 어느정도 간접적으로 느껴볼 수 있는 자료일 것 같아서 가져와봄. 미국 이민간 지인동생이 미국 물가 진짜 장난 아니라고 살기 만만치 않다고 이야기했던 기억도 나고.. 미국 가구의 평균 지출 예산에 대한 데이터라고 한다.​​​연간 수치를 월로 나누어 월평균 지출로 보시면 될듯.  ​​​비율로 확인해보면 미국인들은 주택관련한 지출로 가장 큰 금액을 지출하고 있었는데, 소득의 25% 수준이라고 한다. 그 다음으로는 세금이 14%, 교통비가 13%를 차지하는 순으로 지출 비중이 발생했다고 함. 위에서 언급한 주된 지출만 봐도 벌써 매월 4,000달러가 빠져나간다고 ㄷㄷ 한국돈으로 하면 무려 600만원에 가까운 금액이 지출되면서 시작하는셈..​그렇게 이런저런 지출 평균 금액을 계산하니 8.. 2025. 1. 30.
미 해군, 보안 및 윤리적 문제로 인해 딥시크 사용 금지 발표 나는 진짜 어지간한 경우 아니면 중국산(?) 어플리케이션은 설치하지 않는 편이고, 로봇청소기도 최근 로보락의 경우 카메라 등 센서로 정보 수집이 된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어서 삼성전자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음 ㅎㅎㅎ​원가 경쟁 등이 되지 않는 부분의 경우 어쩔 수 없이 중국산을 써야하는 시대이긴 하지만, AI나 프로그램 등 주요 측면에서는 최대한 중국을 배제하려고 하는 편이다. ​최근 중국의 AI인 딥시크가 많은 이슈를 낳으면서 엔비디아 등 빅테크의 주가를 급락시키기도 했는데, 딥시크는 대놓고 개인의 수집 정보를 중국 정부에도 제공할 수 있다고 약관에 나와있다는 ㄷㄷ ​​​ 미국 해군은 딥시크의 사용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미 해군은 잠재적인 보안 및 윤리적인 우려로 인해 어떤 상황에서든 딥시크를 사용하.. 2025. 1. 29.
구글 등 매수 / 1.28 설연휴 시작하는 월요일 밤에 구글이랑 애플 주가가 세일해주길래, 조금이라도 담아두기 위해 TMF를 살짝 덜어냈다! 마침 TMF도 간만에 살짝 반등해주기도 했고..(아직 갈길은 멀지만.. 흑흑 ㅋㅋㅋ)​​  ​ - 애플(AAPL) 1주 - 젭큐(JEPQ) 3주 - SPLG 3주 - 구글(GOOGL) 3주​​​애플도 세일 좀 하길래 1주 줍줍. 이제 313주째가 되었다. 그리고 기분좋게도(?) 내가 매수한다음 딥시크의 영향으로 귀신같이 올라버린 애플 ㄷㄷ ㅋㅋㅋ 이런 이슈들보면 말장난이라는게 느껴지는 것이.. 분명 작년에는 애플이 AI 늦어서 큰일이라고 주가 조정받더니만.. 이번에는 AI 늦어서 다행이라고(?) 급등 ㅋㅋㅋㅋㅋㅋ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 이기 때문에 우리는 그저 기업의 본질과 실.. 2025. 1. 29.
구글에 고양이를 검색하면? 일본의 기사를 보다가 구글로 고양이를 검색하면 뭔가 숨겨진 기능이 있다고 해서 한국 구글로도 되는지 실험해봄!ㅎㅎㅎ​​구글에 고양이를 검색하면, ​​​위에 이렇게 고양이 발자국이 하나 뜨는데 이 발자국 마크를 클릭하면 신기한 현상이 벌어진다!!!  ​​​​바로 그다음부터 내가 클릭하는 위치에 고양이가 직접 나와서 발자국을 꿍 하고 찍어주는 것!! ㅎㅎㅎㅎㅎㅎ​​​클릭할때마다 요렇게 고양이 발이 나와서 발도장 찍고 사라짐 ㅋㅋㅋㅋㅋ​​막 찍어도 된다!ㅎㅎ 이 기능을 새로고침 하기 전까지는 다른 버튼이 활성화되지 않고 오로지 발자국만 찍힘 주의 ㅋㅋㅋㅋㅋ ​​​​이 장난은 강아지를 검색해도 똑같이 할 수 있다. 근데 발자국이 똑같이 생겼...ㅋㅋㅋㅋ​​​생각해보면 진짜 쓸모없는 기능이긴 한데...ㅋㅋㅋㅋㅋㅋ.. 2025. 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