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실히 딥시크가 처음 존재를 드러낸 직후에는 엄청난 영향을 끼치긴 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이런저런 문제점이 생기며 여러 나라들이 딥시크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기사에서는 먼저,
- 딥시크의 인공지능 모델은 빅테크 기업들이 너무 공격적으로 지출하고 있는것이 아닌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 구글의 한 임원은 딥시크 모델이 인상적이기는 하지만, 이를 둘러싼 과대광고는 과장된 것으로 보인다고 이야기했다.
- 딥시크는 큰 진전을 이루지는 못했지만, 이 모델은 여전히 기술 부문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라고 이야기했다.
중국기업 딥시크가 등장하며 효과성과 낮은 비용으로 시장에서 헤드라인을 장식했는데, 자사의 AI 챗봇이 챗 GPT와 비슷한 성능을 보이며, 개발비용도 600만 달러 미만이라고 말하며 많은 사람들이 빅테크 기업이 AI에 효과적인 지출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 범주에 속하는 기업 중 하나는 제미나이를 개발한 구글이라고 할 수 있는데, 딥시크가 시장에 경고음을 울렸음에도 불구하고 구글의 경영진은 그다지 우려하지 않는다고 이야기했다.
<딥시크가 지금으로서는 구글에 큰 문제가 아닌 이유>
하사비스는 구글 딥마인드의 CEO로, 구글에서 AI 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분이다. 하사비스는 딥시크 AI 모델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인정하면서도, 이것이 게임 체인저적인 능력은 없다고 지적했다.
하사비스는 딥시크의 출시가 기술 부문에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관점을 제시하려고 노력하면서, "과대광고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새로운 과학적 진보는 없습니다." 라고 이야기했다.
그러나 딥시크에 대한 큰 이슈는 단순히 기술적인 이야기라기 보다 2년도 채 되지 않았고 직원이 200명 수준의 중국 기업이 거대 기술 기업을 따라잡고 훨씬 낮은 비용으로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었다는 점에 있다고 볼 수 있음. 여기서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교훈은 AI 에 많은 투자를 하지 않은 다른 기술 기업들이 반드시 엄청난 불이익을 받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최근 애플의 주가가 상승세를 타기도 했음 ㅎㅎ
이런거보면 참 투자라는게 아이러니한 부분도 많은 것 같다고 느끼는게, 작년만 해도 애플이 AI 늦었다고 그렇게 난리치면서 주가도 하락세를 보이더니.. 이제는 AI 투자를 다른 빅테크보다 덜했다고 상승세를 탄다니 말이다.. 약간 말장난 같기도 함 ㅎㅎ
<구글의 투자자는 딥시크에 대해 걱정해야할까?>
딥시크의 AI 모델 자체는 제미나이와 다른 챗봇에게는 큰 위협이 되지는 않는 부분이다. 전세계 정부는 이미 이를 금지했거나 금지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기에, 챗GPT와 제미나이에 대한 가능한 대안이 될 수는 있더라도 널리 사용되지는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구글 투자자가 걱정해야 할 점은 구글이 올해 AI 개발에 집중하면서 자본 지출에 투자할 계획인 750억 달러의 막대한 자금이 잘 쓰였는지 여부이다.
구글 투자자에게는 더 발전된 제미나이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구글이 투자를 상당한 성장 촉진제로 전환하는데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가 주가 상승세는 필수적일 수 있는데, 아마도 수익화할 수 있는 향상된 AI 기반 유투브 또는 구글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될 수 있다.

<구글에 투자해야 할까?>
구글은 여전히 투자할만한 최고의 기술 기업이며, 그 제품과 서비스는 AI로부터 큰 힘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그 지점에 도달하는 것은 투자자들에게 험난한 여정이 될 수 있다.
기사에서는 구글을 장기 투자할 계획이 없는 투자자라면 지금은 관망할때라고 이야기했는데, 작년에 AI 주식이 얼마나 뜨거웠는지를 감안하면 곧 조정이 올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예측했다. 구글은 여전히 장기적으로 좋은 투자 대상이 될 수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상당한 변동성이 있을 수 있다는 분석.
'주식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란티어 매수 (1) | 2025.02.21 |
---|---|
팔란티어가 이야기하는 국방 개혁 (2) | 2025.02.20 |
한국과 일본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이슈 (0) | 2025.02.20 |
새롭게 선보이는 아이폰 16e 출시 국내 가격은 99만원 부터 (0) | 2025.02.20 |
코카콜라 주식에 5천달러를 투자하면 백만장자가 될 수 있을까 (0) | 2025.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