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벳 주식을 24년에 매수해도 될까? 라는 제목의 기사를 읽어보았다. 알파벳은 구글의 상장 이름.
기사에서 핵심 포인트 2가지로 먼저 짚은것은,
1. 구글의 주가는 견고한 매출 성장 등 뛰어난 재무적 성과를 달성하며 23년에 상승했다.
2. 성공에도 불구하고 24년에 잠재적으로 중요한 사건들은 구글에게 롤러코스터 같은 해를 의미할수도 있다.
23년에는 인공지능(AI)의 등장으로 많은 기술주가 수혜를 입었으며, 구글 또한 이러한 수혜를 누린 기업 중 하나이다. 구글의 주가는 23년 한해동안 무려 50%가 넘는 엄청난 상승세를 보여주었다.
24년 새해에는 구글에게 흥미로운 한해가 될 것으로 예상하는 모습이었는데, 구글이 24년에 잠재적으로 큰 격변에 직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인은 구글에 대한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구글의 크롬겟돈>
크롬겟돈이라는 말이 생소해서 찾아보니 구글의 웹브라우저인 크롬과 아마겟돈의 합성어라고 한다. 아마겟돈이 종말을 의미하는 그런 단어이니 크롬의 종말 정도로 감을 잡으면 될듯.
암튼, 구글의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크롬을 꼽았는데, 크롬 웹 브라우저에서 3자 쿠키를 단계적으로 중단하려는 구글의 결정이다. 이러한 쿠키는 우리가 방문한 웹사이트 등 인터넷 활동을 기반으로 디지털 광고를 통해 소비자를 타겟탕하기 위해 광고주들이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온라인 추적은 소비자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가 동반되는 부분이기도 하기에 구글은 제3자 쿠키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그렇게 하게 되면 광고주가 의존하는 현재의 타겟팅 메커니즘이 제거되는 셈.
이것은 꽤 큰 일이며, 광고업계의 많은 사람들이 쿠키의 종말을 크롬겟돈이라고 부르는 이유라고 한다. 왜냐하면 크롬은 현재 무려 64%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세계 최고의 웹 브라우저이기 때문.(애플의 사파리 브라우저는 20%의 점유율로 2위)
구글은 24년 1분기에 제3자 쿠키를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한다고 한다.
이렇게 되면 구글이 크롬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감독하게 되어 광고주들은 구글에 더욱 많은 예산을 지출하도록 하는 강력한 인센티브가 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번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어갈 수 있는 것이 구글에게 상당히 중요한 셈.
성공적인 전환이 이루어지면 디지털 광고 산업에서 구글의 경제적 해자는 더욱 강화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하였다.
<구글이 직면한 24년의 도전>
구글의 검색엔진 패권은 미국 법무부의 관심을 끌게 되었고, 독점금지 소송을 제기했다.
소송은 구글을 플랫폼의 기본 검색 엔진으로 만들기 위해 애플과 같은 기업에 지불한 행위 등에 중점을 두고 있다.
재판은 현재 진행 중이며, 최종 변론은 5월로 예정되어있는데, 판결의 결과에 따라 벌금 혹은 구글이 사업구조를 조정해야 할수도 있는 등 다양한 상황을 맞이할 수 있다.
구글은 최근 안드로이드 앱 스토어와 관련한 별도의 독점 금지 소송에서는 패소했는데, 해당 매출은 비중이 크지 않았지만, 위에 언급한 구글의 검색 엔진 광고의 경우 매출 볼륨이 훨씬 크기에 우려 또한 존재한다.
하지만, 걱정만 할 필요는 없는 것이 마이크로소프트 또한 같은 내용의 독점 금지 소송을 1998년에 겪었지만, 합의에 성공적으로 이르렀고 그 이후로 마이크로소프트의 주가는 수년에 걸쳐 상승하기도 했다.
따라서 구글이 독점 금지 소송에서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다면 장기적으로 구글의 사업은 번영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이 된다.
<구글의 주가 향방은?>
구글의 제3자 쿠키전환과 독점금지 소송은 24년 구글의 주가에 큰 타격을 줄 수도 있다. 그렇지만 장기적으로 여전히 구글은 매력적인 성장주 투자이며, 꾸준한 매출 증가로 강력한 재무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구글은 앞으로도 더욱 큰 성장이 예상되는 글로벌 디지털 광고 산업의 혜택을 누리고 있고,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인 구글 클라우드를 포함한 다른 성장 동력도 보유하고 있다.
거기에 AI는 구글의 수익 확장의 또다른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데, AI산업은 2030년까지 20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기 때문에 언급한 이슈들로 24년에 구글의 주가가 흔들리더라도 장기적으로는 구글의 수익 성장 기회와 비교하면 미미한 부분이 될 것이기에 구글의 주식을 장기적으로 구매하고 보유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언급했다.
구글의 주가흐름을 보면, 20년 이후 꾸준한 상승세를 보여주다가 분할한 이후 굉장한 하락시기를 겪기도 했다. 하지만, 결국 구글과 같은 좋은 기업은 제갈길을 가는 법이기에 23년 동안 고점에 가까운 회복을 이루어냈으며 쌀때 지분을 늘려두는 것이 역시 정답임을 알려주었다.
위에서 언급한 이슈들로 혹시 구글의 주가가 흔들린다면, 구글에 투자하는 분들에게는 상당히 좋은 매수 기회가 생길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주식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얼티인컴 643번째 연속 월배당금 지급 (1) | 2024.01.10 |
---|---|
초저비용 S&P500 지수 ETF (1) | 2024.01.10 |
TMF 등 매수 / 1.9 (1) | 2024.01.10 |
월배당주 2가지 (1) | 2024.01.10 |
애플 비전프로 출시일 확정(2월 2일) (1) | 2024.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