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관련

GDP 기준 세계 20대 경제국

by 김티거 2024. 12. 24.
반응형
반응형

GDP로 살펴보는 세계 20대 경제대국의 순위에 대한 데이터가 있어 살펴보았다.

일단 도표로 먼저 보면, 중국이 1위를 차지했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GDP에 대한 개념을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냥 GDP를 사용한 것이 아니라 PPP 조정 GDP라는 것을 사용했다고 하는데,

간단히 말해, 한 국가의 GDP는 국가 간 가격 수준의 차이를 고려한 환율을 사용하여 공통 통화(국제 달러)로 환산되고, 이를 통해 동일한 상품 및 서비스 바구니가 국가 간에 동일한 비용을 가지며, 실제 경제 산출량을 반영하게 된다고 한다.

PPP조정 GDP를 사용하는 이점은 비용이 고소득 국가보다 낮기 때문에 저소득 및 중소득 국가의 상대적 강점이 고려되는 점이라고 한다.

물론, 완벽한 자료는 없고 PPP조정 GDP라는 수치는 공통 상품 바구니를 만들어 모든 사람이 동일한 유형의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한다고 가정해야 하는데, 이는 당연하게도 국가마다 선호하는 상품과 서비스가 천차만별이기에 오류를 감안해야 할 수 밖에 없다.

한마디로 그냥 어느정도 흐름만 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점 ㅎㅎ

 
 

시대별로 국가별 연합도 이어지고 있는데,

1970년대에는 석유 위기 동안 G7이 만들어지며, 세계 경제의 주요 그룹으로 부상했으며, 주요 글로벌 부문을 지배하는 크고 성숙하며 고소득 경제를 담당하고 있는 국가들이 배치되어 있다.

(G7은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캐나다가 속한 그룹)

그런 다음 2000년대에 BRICS라는 연합이 핫했는데, BRICS는 주로 "글로벌 사우스"에 속한 국가로, 세계화로 인해 꾸준히 성장하는 경제적 힘으로 영향력을 놓고 경쟁해왔으며, 어느덧 이제 그들도 G7의 주요 경쟁자로 자리 잡고 있다.

(BRICS는 중국, 인도, 러시아, 브라질, 남아공이 속한 그룹)

G7과 BRICS 그룹은 함께 세계 20대 경제국인 G20에 속하며, 세계 경제의 70~85%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그 영향력이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음. (대한민국은 G20에 속해있다.)

중국에 이어 미국이 2위를 차지했고, 인도가 엄청난 성장으로 3위까지 치고올라온 점도 눈에 띈다. 한국에서는 망한줄 아는 일본도 여전히 5위권에 자리잡고 있음 ㄷㄷ ㅋㅋㅋㅋㅋ

한국은 14위를 차지했는데, 앞으로의 미래 전망 등을 생각해보면 순위가 더 올라갈 확률보다는 떨어질 확률을 더 걱정해야 할 것 같기도 ㅠㅠ 각자도생 힘씁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