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관련

구글 (GOOGL) 22FY 3Q(7~9월) 실적발표

by 김티거 2022. 10. 27.
반응형

이번에는 구글 알파벳 A(GOOGL)의 22FY 3Q(7~9월) 실적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 한다. 구글은 나도 열심히 모으고 있는 종목이라 항상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음. 구글은 빅테크 대표기업 중 하나로 특히 검색엔진과 유투브를 통해 독점적인 지위를 가져가고 있는 기업이다.

클라우드나 AI 등 앞으로의 성장성도 기대가 되는 기업.

자세한 실적보고 데이터는 아래 링크를 참고.

https://abc.xyz/investor/static/pdf/2022Q3_alphabet_earnings_release.pdf?cache=4156e7f

먼저, 경영진의 주요 코멘트를 정리해보면,

"우리는 명확한 제품 및 비즈니스 우선 순위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지난 한 달 동안 제품 발표만으로도 AI를 기반으로 한 Search와 Cloud의 상당한 개선과 YouTube Shorts를 수익화하는 새로운 방법을 포함하여 매우 명확하게 알 수 있었습니다. 우리는 장기적으로 책임감 있게 투자하고 경제 환경에 대응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3분기 매출은 691억 달러로 작년 대비 6% 증가하거나 지속적인 통화 기준으로 11% 증가했습니다. 3분기 재무 결과는 검색의 건전한 기본 성장과 클라우드의 모멘텀을 반영하는 동시에 외환의 영향을 받습니다. 우리는 최고의 성장 우선 순위를 끌어올리기 위해 자원을 재배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Alphabet and Google의 CEO인 Sundar Pichai

구글의 22FY 3Q(7~9월) 주당순이익(EPS)은 1.06달러를 기록하여, 기관예측치인 1.25달러 대비 큰폭으로 하회한 실망스런 수치를 보여주었다ㅠ 매출의 경우에도 기관예측치 대비 3% 이상 하회한 모습..

구글의 22FY 3Q 매출은 원화로 약 99조 5천억원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전년 동분기 대비 약 6%이상 상승한 실적 수치이다. 영업이익률은 약 25%를 기록!

매출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구글 광고&서비스 분야가 거의 90% 가까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모습이고, 최근 그래도 성장세가 괜찮은 구글 클라우드가 그 다음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아직 전체매출에서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수준이다.

(구글 클라우드 매출 10조원 vs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분기 매출 30조원 수준)

구글의 연매출 수준을 살펴보면, 21FY 기준(21.01-12월) 연매출은 원화로 약 371조원을 기록하였으며, 영업이익률은 약 31% 수준을 기록했다.

최근 5개년 실적 추이를 살펴보면, 굉장한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는 그래프가 눈에 띈다!

현금흐름표를 간략히 보면, 영업활동 창출 현금흐름은 전년 동분기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걱정없는 수준으로 보이고,

실적의 상승세와 더불어 현금도 차곡차곡 쌓아가는 모습! ㅋㅋ

실적발표가 25일 장 마감후에 있었어서 실적영향은 아마 오늘 밤에 좀 더 받지 않을까 싶은데, 역시나 다소 실망스런 실적발표에 장외에서는 벌써 6% 이상 급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ㄷㄷ 과연 실제 장이 열리면 어떤 흐름으로 이어질지..

장기적으로 우상향을 향해 가다가 고점대비 꽤 빠져있는 요즘..(약 30%이상 하락) 분할하면 더 날라갈까봐 빨리 잡으려고 했는데.. 역시 조급증은 금물인듯 ㄷㄷ

그래도 다수의 전문가들은 매수의견과 함께 139달러 정도의 목표주가를 잡고 있는데, 과연 어떨지!

나는 현재 150주를 보유중이고, 한창 비중을 늘려가다가 최근에는 포트 조정을 조금씩 하고 있는 중이다. 아무래도 구글쪽보다는 애플쪽이 매력이 느껴지고 있어서 애플 비중을 포트 최대로 실어가고 있고, 구글은 좀 더 비중을 낮춰가며 다른 포트에 힘을 조금 더 실어보려고 고민중!ㅎㅎ

구글은 현재 배당을 지급하고 있지 않은 기업이고, 당장 배당을 지급시작할지 어떨지 알 수 없기에 배당을 생각하고 모은다기 보다 큰 성장을 기대하며 모아가는 기업이 아닐까 싶다.

이번 분기에 실적이 다소 정체된 모습을 보여주어 우려감도 있는 가운데, 어떻게 구글이 이런 난관을 극복해나갈지 지켜봐야겠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