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동산관련18 전세의 저주에 빠지면 큰일난다.. 내가 결혼한 즈음인 2016년.. 회사 동료 중에서도 비슷한 시기(대략 2017년 정도였었나.) 결혼한 동료 부부가 있었다. 나는 그당시 대출만 받아도 깍두기들이 쫓아와서 돈 내놓으라고 할줄 알았던 개뿔 아무것도 모르던 부린이였지만, 그냥 막연하게 2년살고 나가야 하는 전세는 불안하기도 하고, 사려고 생각한 집의 매수가와 전세가가 고작 몇천만원 밖에 나지 않았기에 매수를 하였다. 나는 내 기준에 충분히 좋다고 생각해서 그 동료 부부에게도 추천을 해주었는데, 그 동료 부부는 그 전에 역세권 신축을 보고 온 터라 당연히 내가 추천한 집이 마음에 들리 없었다.(준공한지 15년 정도 되었었으니 뭐.. 비교가 되었을까!ㅎㅎ) 역세권 신축 아파트에 꽂힌 그 부부가 그 신축아파트를 영끌해서 샀다면 아주 현명했.. 2021. 10. 20. 그래도 살(Living)집은 필수 아닐까? 최근에는 공중파에서 조차 전문가가 전세금을 빼서 월세를 살면서 주식을 해야 한다느니, 집은 필요가 없고 주식이 짱이라느니 이런 흐름이 너무 많이 보이는 것 같다...(그런 분들은 이미 현금흐름이 엄청나서 정말로 집이 필요없고 월임대료 다 감당될거니까 같은 흐름에서 비교하면 정말 큰일난다;;) 내가 처음 집을 산 사연과 강제 2주택이 된 사연을 적었었는데, 그때 내가 제일 먼저 원했던 것은 경제적 자유도 부자가 되는 것도 아닌, 삶의 안정이었다. 내가 살(Living) 집이 생김으로써 주는 안정감은 말로 설명할 수 없다. 와이프와 농담으로 우리 둘다 회사 잘려도 주담대 대출이랑 아파트 관리비만 낼 정도로 알바만 하더라도 쫓겨나지 않고 계속 편하게 살 집이 있잖아~ 이런 이야기도 했었고!ㅎㅎ .. 2021. 10. 20. 이사를 마치고 나에게 벌어진 일. 우여곡절이 많았지만, 무사히 이사를 마치고 첫집은 여전히 내놓았으나 보러 오는 사람도 없었던 와중에 새집에서 2~3개월 정도 생활할 즈음이었던 걸로 기억한다. 집이 너무 팔리지 않아 전세로 일단 한바퀴(일시적 1세대 2주택 범위 내)를 돌리기로 결정하고, 전세로 물건을 다시 내놓고나서 다행히 바로 세입자를 찾아 한시름 덜 수 있었다. 하지만 그때까지만 해도 여전히 한싸이클만 돌리고 무조건 팔아야지 하는 나의 생각은 변함이 없었는데.. 그 뒤로 부동산에서의 연락이 빗발치기 시작했다! 내가 새집으로 이사온 몇 달후 갑자기 무슨 일인지도 모르게 집 2채가 나란히 오르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 뒤로 첫집을 매도할 생각 없냐는 부동산의 연락을 엄청 많이 받기 시작했다.(물론 처음 내놓았던 가격 그대로 요.. 2021. 10. 20. 2019년 적폐인 2주택자가 되다!! 사실 첫 집을 구매했을때 적어도 5년 이상은 살게 될거라고 생각했지만, 인생은 마음대로 되는 것은 아니니.. 신혼집은 21평에서 시작했는데, 문득 3년 남짓 되었을 쯤에 와이프가 의견을 내었다. 나중에 아기를 낳게 되면, 아무래도 아기를 봐주실 수 있는 시부모님과 같은 단지로 이사를 가는게 어떠냐고. 그 당시 첫집은 부모님과 같은 지역에 차로 15분 남짓 걸리는 가까운 곳이었지만, 그래도 주변에 친구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그렇게 왔다갔다 하는 것도 보통 일이 아니라고는 익히 듣긴 했었다. 나는 처음에는 조금 귀찮은 마음도 있었다. 나라는 사람은 변화를 싫어하고(두려워한다는게 더 맞겠다.) 현재 생활에 금방 만족해버리면 안주해버린다. 그치만, 나는 와이프 말을 잘 듣는 편이기에, 첫 집을 매도를 .. 2021. 10. 20.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