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24년은 지수추종의 위력을 또 한번 느꼈던 한해이기도 했는데, 잘 모르겠으면 그냥 미국증시 믿고 지수추종만 열심히 투자했어도 좋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한해였다.
나는 S&P500 지수추종 상품중 가장 주가 접근성이 좋고, 수수료도 가장 저렴한 상품인 SPLG를 정해서 열심히 모아가고 있다.
개별종목도 아닌 지수추종이 올 한해에만 25% 이상 상승세를 보여주었다는 사실 ㄷㄷ
올해는 특별히 큰 위기 없이 그냥 우상향을 해주었다!
![](https://blog.kakaocdn.net/dn/bW3SYd/btsLx0m2cLl/Uw3SEQM2D4eM8104BJksR0/img.png)
SPLG는 23년부터 모았으니 올해로 투자 2년차가 되었는데,
23년에 98주를 모았고, 24년에는 76주를 모았다.
상반기에 57주를 매수해서 하반기에 비해 좀 더 집중적으로 매수했었음.
![](https://blog.kakaocdn.net/dn/HWMhT/btsLxryJ8pu/2Lf85ikMXQF2weGmrHbTz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SN8Vx/btsLxELo4kj/OhakwD1RGh2H1bMgPWAv61/img.png)
그래서 현재 174주를 보유중이고, 누적수익률은 27% 정도를 기록하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L9z5D/btsLx9EpaPn/AfhhJ9crKcolkzNLawn9KK/img.png)
예전에는 개별로 모으고 싶은 기업들이 많아서 시드도 작은데 전부 분산시켜서 집중시키기 어려운 적도 있었는데, 이렇게 지수추종을 대표로 가져가다보니 내가 특별히 모아가고 싶은 애플이나 구글과 같은 개별종목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SPLG로 전부 커버가 된다는 생각이 든다.
앞으로든 개별 종목을 특별히 더 늘리거나 하기 보다는 SPLG의 비중을 더 키워갈 생각이다.
25년에는 SPLG 300주를 목표로 열심히 달려봐야겠음!!
역시 돌고돌아 답은 지수추종!! ㅎㅎㅎ 만약 내가 투자에 자신이 없고, 시드 운용이 크지 않은 상황이라면 지수추종만 잘 모아가도 분명 유의미한 결실을 얻을 수 있다고 본다!
728x90
반응형
'주식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년 식량 인플레이션이 가장 높았던 국가 (0) | 2024.12.26 |
---|---|
애플의 4조달러 클럽 입성은 25년안에 가능 (2) | 2024.12.26 |
아사히에서 만든 미래의 레몬사와라는 츄하이 성공 비결 (0) | 2024.12.26 |
구글 웨이모, 첫번째 해외진출 국가로 일본을 선택 (0) | 2024.12.26 |
24년 TMF 투자 결산 (0) | 2024.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