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관련

24년 H-1B 비자 발급을 가장 많이 받은 기업 순위

by 김티거 2025. 2. 1.
반응형
반응형

24년 미국에서 H-1B 비자를 발급받은 상위 기업에 대한 데이터가 있어 가져와보았다.

여기서 H-1B 비자가 뭔가 해서 찾아봤는데,

미국에서 특정한 전문직종에 종사하고자 하는 외국인을 비자라고 한다. 즉, 미국 기업이 특정한 전문 기술을 가진 외국인을 고용하여 미국에서 편하게 일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비자!

최근 테슬라의 CEO인 일론 머스크는 H-1B 비자 프로그램에 따라 더 많은 외국인 근로자를 요구했고, 이점이 많은 이슈가 되기도 했다.

<빅테크가 지배한다>

아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24년 H-1B 비자 수혜기업 1위는 아마존이 꼽혔고, 수혜자의 절반 이상이 미국의 빅테크 기업이었다. 아마존은 주로 엔지니어와 기술 직종으로 구성된 외국인 근로자를 많이 영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빅테크 기업들은 필요한 인력을 고용하기 위해 이런 비자 프로세스 자체를 진행할 수 있는 변호팀을 만들 수 있고 실제로도 이런 방식으로 좋은 인재들을 많이 영입한다고 한다.

또 하나의 특징은 빅테크 기업은 일반적으로 급여가 더 높은 직책이 많은 반면, IT 아웃소싱회사는 직위가 낮은 직책이 많았다는 것. 예를들어, 마이크로소프트의 H-1B 중간 연봉은 16만달러였다고 하는데, 타타 컨설팅 서비스의 경우 82,000달러 정도였다고 한다.

H-1B 비자 프로그램은 미국에게도 굉장한 이점을 불러일으키는 정책으로 평가되는데, H-1B 비자를 잘 활용하는 대기업은 매출이 더 높고 혁신이 강화되며 생존율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이는 미국경제 전반에 걸쳐 더 많은 미국 특허와 더 높은 생산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헐리우드 영화에서도 보면 보통 천재 엔지니어 역할은 인도사람들이 주로 맡던데, 그런 부분에 있어 빅테크에서도 해외의 천재들을 잘 영입하는 것도 정말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인 것 같다.

나는 그정도로 영입될만한 인재는 아니라는 것을 자기 객관화를 통해 아주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대신 나를 위해 일해줄 애플이나 구글 같은 기업의 지분을 모아가려고 한다 ㅋㅋㅋㅋ 인재들 팍팍 영입해서 계속 성장해주라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