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담등

사람에 대한 기대를 줄이는게 멘탈관리에 좋다

by 김티거 2023. 4. 25.
반응형

 

사람은 언제 주로 짜증을 내게 되는지 곰곰히 생각해보면,

상대방이 내가 원하는대로 반응해주지 않을때가 바로 그런 순간 중 하나이지 않을까 싶다.

회사에서 일하는 동료중에 소위 말하는 고문관 동료가 있었는데, 아무리 그대로 알려줘도 생각하지 못한 이상한 방법으로 업무처리를 해서 오히려 그거 확인하는데 더 오래걸렸던 기억이 난다.

그럴때는 정말 분노조절 장애가 생길듯이 화가 치밀어 오르기도 했는데, 정작 그 친구는 굉장히 열심히 하고 그랬어서 더 슬프기도 했다..

그러다가 '아 역시 사람은 잘 바뀌지 않는구나.' 싶기도 하고, 내가 저 친구에게 화가나는 것은 어찌보면 내 기준에서 똑같이 해내주기를 기대하기 때문일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반응형

그래서 나는 그 친구에 대한 기대를 아예 접고 그 친구를 대하기 시작했는데..

신기하게도 그 친구는 똑같이 업무처리를 이상하게 해도 예전보다 화가 덜 나는 것이었음.

그냥 기대감을 접고 오히려 저 친구가 하는건 그냥 다시 하면 되겠다는 생각을 하고 업무를 진행하다보니까.. ㅋㅋㅋㅋ 참 사람의 마음은 간사하고 신기함을 느꼈던 경험이었다.

혹시나 여러분들도 내 기준 혹은 내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친구가 있어 분노조절장애가 생길 것 같다면, 결국 이 모든 것이 내가 그 친구에게 기대를 조금이라도 하는 그런 마음 때문에 주로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그 기대감을 아예 없애는 연습을 해보시면 한층 나아지지 않으실까 싶다.

포기하면 편해!

 

728x90
반응형